3월 28일 미얀마 중부 및 기타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강진으로 광범위한 피해가 보고된 가운데, 조 프리먼(Joe Freeman) 국제앰네스티 미얀마 조사관은 다음과 같이 밝혔다.
“이번 지진은 미얀마에 최악의 시점에 발생했다. 2021년 군사 쿠데타 이후 계속된 무력 충돌로 인해 300만 명이 넘는 사람이 국내 실향민으로 남아 있다. 올해는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인도적 지원을 필요로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국제구호 삭감이 미얀마 내 구호 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미얀마에서 군부가 다수의 언론 매체를 금지하고 인터넷 접근마저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피해 규모와 인명 피해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당분간 어려울 수 있다. 미얀마 내 진앙지보다 태국에서 더 많은 이미지와 정보가 나오고 있다는 사실은 2021년 쿠데타 이후 군부가 언론의 자유를 얼마나 철저히 억압해왔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진앙으로 추정되는 미얀마 중부 지역은 미얀마 군의 공습과 저항 세력과의 교전으로 이미 심각한 피해를 입은 지역이다. 미얀마 군은 이전부터 저항 세력이 활동하는 지역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차단해왔다. 미얀마 군은 모든 인도주의 단체의 방해받지 않는 통행을 즉각 허용하고, 요구 진단(needs assessment)을 지연시키는 행정적 장벽을 제거해야 한다.
“모든 무력 충돌 당사자들은 이번 재난으로 삶이 파괴된 민간인의 필요사항을 최우선에 두고, 이들이 원활하게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모든 구호 활동은 인권을 중심에 두고 이루어져야 하며, 지원 제공 과정에서 어떤 형태의 차별도 있어서는 안 된다. 국제앰네스티는 특히 아동, 노인, 장애인, 취약한 상황에 놓인 여성과 소녀 등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할 것을 촉구한다.”
배경
3월 28일 오후 1시 20분경, 규모 7.7의 강진이 미얀마를 강타했다. 지진은 미얀마 사가잉(Sagaing) 지역에서 관측되었으며, 초기 보고에 따르면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Mandalay)와 수도 네피도(Naypyitaw)를 포함해 주택, 종교 유적, 문화재 등 다양한 시설에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지진은 국경을 넘어 태국 방콕과 치앙마이 등에서도 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