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영역
교과과정
이수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개설학년·학기 |
---|---|---|---|
전공선택 | 건축계획기초 | 3 | 1-1 |
건축구조기초 | 3 | 1-1 | |
건축색채및조형 | 2 | 1-1 | |
건축설계제도 | 3 | 1-1 | |
현대건축론 | 2 | 1-1 | |
건축환경디자인및실습 | 3 | 1-1 | |
건축CAD기초 | 3 | 1-2 | |
건축계획실무 | 3 | 1-2 | |
건축구조응용 | 3 | 1-2 | |
건축위생설비및소화설비 | 3 | 1-2 | |
구조역학기초 | 3 | 1-2 | |
주택설계 | 3 | 1-2 | |
건축CAD실습 | 3 | 2-1 | |
건축법규 | 3 | 2-1 | |
공기조화설비실무 | 2 | 2-1 | |
구조역학응용 | 3 | 2-1 | |
오피스설계 | 4 | 2-1 | |
단지설계 | 3 | 2-1 | |
건축CAD응용 | 3 | 2-2 | |
건축법규실무 | 3 | 2-2 | |
건축시공실무 | 3 | 2-2 | |
교육시설설계 | 4 | 2-2 | |
건축사 | 2 | 2-2 | |
철근콘크리트 | 3 | 2-2 | |
건축CADVR | 3 | 3-1 | |
건축공간디자인 | 2 | 3-1 | |
건축시공과 건축사업 | 2 | 3-1 | |
철골구조 | 2 | 3-1 | |
문화시설설계 | 5 | 3-1 | |
철근콘크리트실무 | 3 | 3-1 | |
표준현장실습학기제Ⅰ | 3 | 3-1 | |
건축캡스톤디자인 | 5 | 3-2 | |
건축CAD실무 | 3 | 3-2 | |
건축형태디자인 | 3 | 3-2 | |
전산구조계산실습 | 2 | 3-2 | |
학과교양 | 건축 의사소통과대인관계능력 | 2 | 1-1 |
건축 취업진로자기개발능력 | 2 | 1-2 | |
건축 문제해결과조직이해능력 | 2 | 2-1 |
전공심화과정
이수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개설학년·학기 |
---|---|---|---|
전공선택 | 디자인프로세스 | 2 | 4-1 |
건축도시설계 | 3 | 4-1 | |
건축구조실무 | 3 | 4-1 | |
건축BIM설계기초 | 3 | 4-1 | |
주거론 | 3 | 4-1 | |
건축구조계획 | 3 | 4-1 | |
건축BIM시공 | 3 | 4-1 | |
건축설비실무 | 3 | 4-1 | |
친환경건축 | 3 | 4-2 | |
건축시공관리 | 3 | 4-2 | |
건축프로젝트실무 | 4 | 4-2 | |
건축프레젠테이션실무 | 2 | 4-2 | |
건축BIM설계실무 | 3 | 4-2 | |
건축과문화 | 3 | 4-2 | |
건축내진설계 | 3 | 4-2 | |
구조설계실무 | 3 | 4-2 |
-
- 건축계획 1 (Architectural Planning 1)
- 건축이라는 종합예술의 시점에서 계획하고자 하는 건축물과 인간생활의 관계를 이해하고 기본적인 인간의 움직임과 건축기능을 파악함으로서 인간의 신체적 존재와 상반되는 건축계획의 정의를 강의한다.
-
- 건축설계제도 1 (Architectural Drawing 1)
-
건축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건축설계의 기본기술을 익히는 것이 어느 것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이 과목에서는 제도과정에 있어서 기초적인 도면의 표시방법과 기구의 사용방법, 건축도학 이론 등을 배우고, 다음으로 설계도의 작성방법과 작도법 등을 터득함으로써 실용할 수 있는 산지식을 전달하도록 노력한다.
또한 이 과목을 통해서 학생들이 정확하고 정밀한 입체적인 상상력을 발전시켜 도면에 나타날 수 있게 한다.
-
- 건축구조 1 (Building Structure 1)
- 일반구조의 기본 사항인 기초구조, 조적조, 목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구조 등 건물각부의 개념적 구성기술을 교육한다.
-
- 구조역학 1 (Dynamics of Building Structure 1)
- 구조물에 대한 역학적인 구조 해석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건축공학의 기초적이며 필수적인 교과들이다. 힘의 개념을 이해하고 구조물에 적용하는 힘과 부재응력, 변형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는 기본 지식을 습득케 한다.
-
- 건축학 총론 (Introduction to Architecture)
- 인류의 문화를 창조하고 주거환경을 창출하는 건축은 예술과 기술의 종합학문이다. 건축은 학문성과 전문성을 겸비한 종합과학의 특성을 갖고 있어 이러한 특성을 습득할 수 있도록 강론하다.
-
- 건축환경 및 실습 (Architecture Environment Practice)
- 건축물 내, 외부의 환경요소 중의 열•공기•음•빛에 대한 기본이론을 강술하고 열, 공기, 음, 빛 환경과 인간, 건축물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건축계획, 설계 유지관리과정에서 열과 공기•음•빛에 대한 취급방법과 경제적으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창출하는 기법을 터득하게 한다.
-
- 건축설비 1 (Building Equipment 1)
- 급배수, 소화, 가스설비의 구성, 계획법, 각종 기기, 배관 등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소개하고 각종 건물에서 급배수의 위생 설비의 적용방법, 운전방법, 경제성들에 대하여 실례를 들어 소개하고 각종 건물에서 급배수 위생설비의 적용방법, 운전방법, 경제성 등에 대하여 사례를 들어가면서 강술한다.
-
- 서양건축사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 건축사는 인류사회의 인간적인 경과와 함께 이루어진 인간생활의 기술적 발전과정이란 이념표현의 공간적 실존 유적이다. 본 강의는 학생들에게 고대건축의 창조의식을 그 역사적 감각에 따라 규명해서 건축계획에 필요한 건전한 의식을 주지시키고자 한다. 즉, 고대에서 현대까지의 시간과 공간의 변천사를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의 건축계획에 우선되는 자아 확립을 형성케 하고자 한다.
-
- 구조역학 2 (Dynamics of Building Structure 2)
- 구조물에 작용하는 힘과 부재에 생기는 응력의 산정방법을 익히고, 내력•변형 등을 고려하여 각종 정정 구조물의 부재단면설계와 부정적 구조물의 기초적 해석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
- 건축계획 2 (Architectural Planning 2)
- 건축이라는 종합예술의 시점에서 계획하고자 하는 건축물과 인간생활의 관계를 이해하고 기본적인 인간의 움직임과 건축기능을 파악함으로서 인간의 전체적 존재와 상반되는 건축계획의 정의를 강의한다.
-
- 건축설계제도 2 (Architectural Drawing 2)
- 건축설계제도에 관한 기초를 지도한다. 건축공간을 창조하기 위해 기초적인 언어의 공간을 표현할 수 있는 기본연습을 병행한다. 건축공간을 제안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각종 표현법을 연습한다. 아울러 기존의 공간을 도면화하는 연습을 한다.
-
- 건축구조 2 (Building Structure 2)
- 철근콘크리트 구조 및 철골구조의 설계 및 시공에 관하여 건축 구조의 파악과 적용을 위한 기본개념과 실체를 강술하며, 건축물의 부위별 구성 방법 및 구성원리를 습득하도록 하며, 구법 설계에 대한 인식을 가지도록 한다.
-
- 전산개론 (Antroduction in computer)
- 건축에 활용하기 위한 컴퓨터의 기존지식을 갖추기 위한 EXCEL, OA, 인터넷 등의 내용을 학습하도록 한다.
-
- 건축설계 1Practice of Architectural Planning 1
- 건축설계의 기본을 바탕으로 실제이론의 SITE 위에 설정된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건축설계의 실무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고자 한다. 따라서 두 개의 프로젝트를 한 학기동안 배경 설명에서 건물의 형태를 완성하기까지의 과정을 건축계획, 건축사, 환경, 구조 등의 타 분야와 긴밀히 협조하여 나아가는 훈련을 주석으로 하고 있다.
-
- 건축 CAD 실습 1 (Computer Aided Architecture Design 1)
- 건축 디자인 요소로서의 CAD 수업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제도 도구로서 건축물의 도면 표현을 위한 기초 제도를 명령어를 습득하여 건축 디자인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배운다.
-
- 철근콘크리트 1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1)
- 철근과 콘크리트의 기본 특성과 역학적 성질을 설명하고 허용 응력도 설계 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부재인 보, 기둥, 슬래브 및 기초 등을 안전하고 경제성 있게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며 아울러 건물의 안정성, 경제성 및 사용성을 검토하는 방법을 강의한다.
-
- 건축시공 1 (Building Construction 1)
- 시공의 일반적 개요인 시공법, 시공업무, 관계자, 공사의 계약제도, 시공 계획 및 장비 이용, 공사 관리의 이론적 체계를 이해하고 직접적인 건축 공업의 생산활동 과정을 교육한다.
-
- 건축법규 실무 1 (Building Regulation and Practice )
- 건축에 관계되는 법규(건축법, 도시계획법, 주택건설촉진법, 건설역법 등)에 대한 해설과 적용 및 활용능력을 강의함으로써 합리적인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 동양건축사 (History of Asia Architecture)
- 우리나라 건축의 발생 때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변화되어 왔고, 어떤 건축양식과 건축기법이 전해져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그것을 어떻게 소화시켜 한국적으로 정착시켰는가에 대하여, 시대별•용도별 내용을 파악하여 현대 건축에 도입할 수 있는 과정을 강의한다.
-
- 건축표현기법 (actice of Architectural Presentation)
- 건축물 설계 시 요구되는 디자인의 기본적인 지식인 소묘 및 스케치를 중심으로 표현기법을 훈련하고 구체적인 디자인 활동에 이바지할 수 있는 안목을 높이며, 이론의 체계를 가진 구성 내용을 조형 및 의장 적 감각을 묘사할 수 있는 창의력 개발이 가능토록 교육한다.
-
- 건축설비 2 (Building Equipment 2)
- 공기조화설비, 냉난방설비의 구성, 계획법, 강조 기기, 덕트 등에 대한 이론과 실제로 소개하고 각종 건물에서 이 공조 시스템의 적용방법, 운영방법, 경제성, 쾌적성에 대한 실례를 들어가면서 강술한다.
-
- 철골구조 (Practice and Design of Steel Structure)
- 구조역학을 바탕으로 실제 철골구조물의 골조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양성하는 목적으로 하며, 강구조의 개념과 인장재 설계, 압축재 설계, 조립재 설계법 및 이음, 맞춤, 주각 설계법에 대하여 강술 및 실습한다.
-
- 건축설계 2 (Practice of Architectural Planning 2)
- 건축설계의 기본을 바탕으로 실제이론의 SITE 위에 설정된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건축 설계의 실무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고자 하다. 따라서 두 개의 프로젝트를 한 학기동안 배경 설명에서 건물의 형태를 완성하기까지의 과정을 건축계획, 건축사, 환경, 구조 등의 타 분야와 긴밀히 협조하여 나아가는 훈련을 주석으로 하고 있다.
-
- 건축 CAD 실습 2 (Computer Aided Architecture Design Ⅱ)
- 실무에 응용하고 있는 건축용 부가 소프트웨어의 사용과 다양한 기법을 익혀 건축계획 및 설계에 적용하는 능력을 갖춘다.
-
- 건축시공 2 (Building Construction 2)
- 본 과목은 건축시공을 통해 닦은 시공지식을 시공현장에 접목시키기 위하여 시공의 기본이 되는 도면숙지 능력 및 시공관리에 관하여 실습하며 또 현장 품질 관리 측면에서 콘크리트의 비파괴검사 등을 습득시킨다.
-
- 건축재료 (Building Material)
- 건축 구성 재료의 소재별 본질과 성능을 논하고, 각각의 용도 및 각 부위의 복합적인 성능을 설명한다.
-
- 건축적산 (Building Estimation)
- 건축시공자가 사용하는 기본적인 적산기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과목에서는 노무, 자재, 장비에 대한 원가의 하도급가 및 경상비를 공사계획에 근거하여 산출하고 위험부담 정도와 이익을 적정하게 원가에 방영되는 기법을 중점적으로 반영한다.
-
- 단지계획 및 설계 (Site Planning and Design)
- 일단의 단지를 분석하고 이에 집단주거, 근린, 상업시설을 서로 조화있고, 균형있게 단지에 배치하는 기술을 습득하고, 계획, 설계과정 및 방법론을 중심으로 이해하고 총괄적인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 건축 CAD 실습 3 (Computer Aided Architecture Design Ⅲ)
- 건축분야에서 컴퓨터 활용에 관한 개괄적인 이해를 통하여 건축설계 및 관련업무 수행에 필요한 컴퓨터 응용방법을 습득하도록 하며, 특히 MAX와 PHOTOSHOP을 중심으로 강의하고자 한다.
-
- 건축공간 구성론 (Theory of Architectural Space)
- 우리가 건축을 감상하는 것은 건축물과 관찰자간의 관계를 시각적 작용력의 관계로 파악하는 것이다. 지각적 작용력은 눈으로 관찰하여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시각적인 힘의 크기와 방향, 그리고 볼륨을 파악하여 공간구성을 할 수 있는 방법과 4차원적인 공간의 의미에 위계, 연속, 방향, 위요, 영역, 반복성 등의 공간언어를 적용시켜 공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건축설계 3 (Architectural Design 3)
- 문화시설, 종교시설 및 의료시설계획에 필요한 각종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기능, 미, 구조를 위한 모델링 작업 및 패널작업을 통하여 건축물의 단면계획부터 실시계획 하도록 한다.
-
- 건축조형 실습 (Wokshop in Form and Figure)
- 아이디어의 구체적인 표현방법과 필요성을 숙지, 숙달시킴으로써 창의적인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조형의 기본적인 원리와 비례, 균형, 조화, 반복, 점이 등의 디자인 원리에 입각한 구성 연습을 통하여 건축조형에 실제 응용할 이론을 채득하고 조형감각과 시각적 미를 개발한다.
-
- 건축재료 실습 (Building material testing)
- 건축물을 구성하는 각종재료 중 목재, 석재, 점토, 시멘트, 콘크리트, 금속, 유리, 합성수지 등의 조직, 성분, 성질 및 특성 사용법 및 보관법 등의 지식을 이론과 실험을 통해 이해하여 건축재료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사용목적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
-
- 도시계획 및 설계 (Architectural Urban Planning and Design)
- 도시화에 따른 인구, 교통, 토지 등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시계획의 학문적인 체계가 요구되어 지고 있는 바 이에 도시계획, 설계, 개발 및 관계법 등을 이해하고 특히 지구단위계획의 내용을 습득하고 이해하도록 한다.
-
- 건축공정관리 (Earned Value Management)
- 건축시공현장에서 현장지도, 공사계획, 현장관리, 노무관리, 자재관리 등과 각 공정별 공사에 관한 것 등 현장의 관리경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학습한다.
-
- 철골구조실무 (Steel structure Practice)
- 건축물의 고도화에 따른 강구조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지금, 철골구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한건축학회에 제정된 강구조계획 및 동해석에 맞는 응력의 산정 및 도면의 설계, 주요구조부에 적합한 설계 등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있다.
-
- 건축실무 (Building Project Management and Practice)
- 건축물의 프로젝트 등의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각 건축생산단계별 영역의 소개와 관련성을 고찰하고, 기능, 수행조직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며, 또한 건설 타당성 분석, 시공도면과 시방서의 이해, 건축품질의 인증체계 등 실무 측면의 각종 프로젝트 관리기법의 소개와 프로젝트 수행사례의 소개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자의 기본적 소양을 배양한다.
-
- 건축 CAD 실습 4 (Computer Aided Architecture Design Ⅳ)
- 건축분야에서 컴퓨터 활용에 관한 개괄적인 이해를 통하여 건축설계 및 관련업무 수행에 필요한 컴퓨터 응용방법을 습득하도록 하며, 특히 MAX와 PHOTOSHOP을 중심으로 강의하고자 한다.
-
- 현대건축론 (Theory of Modern Architecture)
- Team X 이후 현대건축의 절충기를 거쳐 포스트모던 건축의 논의가 시작된 무렵부터 최근까지 건축이론-절충주의, 레이트 모더니즘, 포스터 모던, 하이테크 및 해체주의 건축 등에 관하여 이해하여 현대건축이 처한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건축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 건축형태론 (Theory of Architectural Form)
- 건축은 3차원의 공간예술로서 조형예술적 특성을 지닌 분야이다. 따라서 건축물을 설계함에 있어 건축공간과 연계하여 형태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며, 기존의 형태적인 언어를 실제 건축물에 적용하고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를 판단 능력을 키우며, 3차원적인 공간미에 대하여 체험하고 음미해 보며 건축적 아이디어의 개발, 표현 및 전달에 필요한 내용을 습득한다.
-
- 건축설계 4 (Architectural Design 4)
- 건축설계제도 1,2와 건축설계1、2、3에서 익힌 여라가지 설계기법을 통하여 박물관, 문화센터, 학교, 관람집회시설 등 여러시설의 프로그래밍부터 P.O.E까지의 작업과 그 작업을 구체화 시키는 방법으로 모델링과 패널작업을 통하여 건축전반에 걸친 내용을 전반적으로 검증하며 이를 졸업작품으로 제출한다.
-
- 전산구조계산실습 (Computer Structure Design in Practic
- 각종 구조물의 응력계산에 의한 구조계산과 각종 데이터에 의한 값을 정리하고 그 결과에 의하여 구조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익힌다.
-
- 건축구조계획 (Architectural Structure Planning)
- 건축구조물이 외부작용력(하중)에 대해 지지도리 수 있는 전체적 구법계획을 구조물 종류로 구별하여 강의를 하며, 연직하중과 수평하중 특히 지진, 또는 풍하중에 대한 구조시스템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경제적 구조계획, 안전성 있는 구조계획, 건축계획적인 면과 잘 조화를 이루는 구조계획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
- 건축디자인과 색채학 (Architectural Design and Coloring)
- 건축물의 내부공간을 공간의 용도와 인간의 생활 목적에 따라 기능적, 정서적인 충족이 되도록 하고 안전하고, 편리하며, 쾌적하게 하여 보다 능률적인 공간이 되도록 계획, 설계하는 능력을 기르며, 건축디자인에서 건축물의 색채계획을 통하여 시각적인 디자인을 좀 더 심층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학습한다.
-
- 건축설비 3 (Building Equipment 3)
- 건축설비 1,2를 통하여 얻어진 지식을 바탕으로 건축설비계도면의 이해 및 설계, 건축설비 관리기술, 설비시설 관리 현장실습 등의 실무에서 적용되는 실질적인 능력을 배양하도록 하며, 건축설비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배양하도록 한다.
-
- 건축물 리모델링 계획 (Building Remodeling)
- 건축공간은 내 외부로 분리, 연결되며 공간은 빗물체로서 공간의 시각적 체험은 공간을 구성하는 물적요소가 대상이다. 건축 내 외부 공간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고정, 반고정, 비고정 요소를 분류, 상관관계를 체계화하고 변화의 요구에 대응하여 건축성능의 재생기법을 제공한다.
-
- 현장실습 (Practice in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