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영역
-
- 공업수학(Mathematics Engineering)
- 공학에서 널리 이용되는 수학기법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편 미분 및 연립 미분방정식과 Laplace변환, 선형대수학인Vector, 행렬, 선 적분, 면 적분,Fourier급수 등을 익혀 관련공학분야에 활용하는 능력을 습득한다.
-
- 회로이론 I, II(Electrical Circuit I, II)
- 본 과목에서는 회로소자, 회로방정식, 회로응답(정상상태, 과도상태), 회로신호해 석 등의 기본이 되는 각종 정리의 개념, 이의 응용방법과 여기 필연적으로 수반 되는 미적분, 복소수 및 행렬 등의 수학적 기반지식을 넓히는데 비중을 두어 차 후 이수하게 될 타 괸련과목의 수강 능력을 높여 전기분야의 엔지니어로서 갖추 어야 할 기본지식을 확고히 한다.
-
- 전기기초실습(Experiment of Electrical Cirtcuit)
- 전기전자의 기본적인 이론을 실험을 통하여 쉽게 습득하여 전지전자의 기반을 확고히 하고, 각종 측정 원리 및 계기의 사용법을 습득 시켜 전공학문에 대한 이론, 싱기 및 전기산업에 적응능력을 배양한다.
-
- 전기자기학 I, II(Electromagnetic I, II)
- 전기공학의 핵심이 되는 기초과목으로서 물리적인 현상을 전기적 특성에 따라 이 론적으로 체계화하고 수학적으로 해석하여 기본원리를 이해하며, 물리양과 단위 계, 백터해석, 전기의 기초현상, 정전계 전류, 진공중 도체계 유전체 등을 학습한다.
-
- 전기기기 I, II(Electrical Machinery I, II)
- 전기기기의 원리 및 기능을 이해하고 운전, 보수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케 하여 설계, 제작 및 수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직류기, 교류기, 동기기, 변압기, 정류기 및 기타 특수기에 관한 원리 및 기능, 응용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
- 인터넷활용(Internet Application)
- 21세기는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로 변화될 것이다, 이러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이 필요 정보를 얻기 위해 네트워크이 적절한 이용이 절실한 형편이다. 따라서 자신이 필요한 자료를 검색하거나 자신이 가상공간, 즉 웹 사이트를 구축함으로써 정보의 이용률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
-
- 전력공학 I, II(Power Engineering I, II)
-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송전 선로와 배전 선로에 의해서 수용가에 이르는 제반사항에 대하여 학습한다. 수용가에 이른 전력 에너지를 적절하게 배전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중견 기술자로서 필요한 전공 지식을 숙지하도록 한다.
-
- 제어공학 I, II(Control Engineering I, II)
- 동적시스템의 특성, 모델링 및 이를 제어하는 기법을 학습한다,Motor등의 전기 시스템을 중심으로 모델링 하고, 이들에 대한PID제어기설계 기법을 습득한다. 제어기 설계 방법을 정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어시스템을 설계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또한 상태공간에서 제어시스템을 해석하고 상태공간 법을 이용하여 제어시스템 을 설계하는 방법을 습득함으로써 실무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VC++실습 I, II(Experiment od VC++ I, II)
- 객체지향 기술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비주얼C++을 이용하여 객체 지향 이론 과 설계방법을 습득하고, 어플리케이션 중심의 클래스의 설게 및 구현 인공지능 제어시스템의 응용제어프로그램을 프로차트화 하여system을 프로그래밍 작성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 디지털공학개론(Introduction to Digital Engineering)
- 디지털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현대의 새로운 정보화 시대를 구축해 가는데 필요한 핵심기술로서 계측제어, 통신, 정보분야 등 산업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확산되어가고 있는 디지털 시스템의 기본원리와 최신기법을 광범위하고도 포괄적으로 학습한다. 또한 이러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 한다.
-
- 전기설비(Electrical equipment)
- 실무현장과 전기설비설계에 필요한 심벌, 옥내 및 옥외 배전 설비, 조명설비, 동력설비, 수변 전 설비, 기타 예비전원 및 방재설비, 견적 등에 대한 원리와 독도법을 습득시키고 현장 실무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 회로망해석(Circuit Network Analysis)
- 선형회로이론을 바탕으로 복잡한 회로를 해석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회로 전반의 응답 특성 등을 현장감 있게 배운다.
-
- 전기설비설계실습I, II(Experiment of Electrical Equipment Design I, II)
- 변전 설비, 예비 전원설비, 간선, 조명 설비, 전동력 설비의 구성을 이해하고, 설계요소를 이해한다. 전기 설비의 시공, 적산, 설계 기술의 기초를 이해하고, 설계 및 전산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전기기기실습(Experiment of Electrical Machinery)
- 전기기초실습을 바탕으로 전기기기 및 마이크로 컴퓨터 등과의 연계를 위한 여러 종류의 전 기기기 특성을 실습하며, 전기계측분야에서 현장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실습을 지향한다.
-
- 자동제어실습Ⅰ,Ⅱ (Experiment of Automatic Control System Ⅰ,Ⅱ)
- 제어공학의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실습을 한다. 제어회로의 수학적인 해석법을 실습을 통하여 익히고 현장 적응력을 높인다.
-
- 전기응용 (Electrical Applications)
- 조명, 전열, 전동력, 전기 화학, 정전기 등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각종 응용 분야에 대한 강의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이용 기술에 관한 폭넓은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
- 전기설비기술기준 (Electrical equipment Technique Code)
- 전기사업에 관한 행정적인 법규정의 내용을 숙지하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 시퀀스 제어 ( Sequence Control)
- 시퀀스 도를 읽는 방법, 그리는 방법 등을 이해시키고 릴레이 회로, 타이머 회로 및 타임 차트의 동작 설명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어 회로를 논리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
- 인공지능제어 (Art Intellectual Control )
- 인공지능(GA, INN, SA, FUZZY)제어는 수치 및 이산수학에서 시스템의 응답 인공지능제어 시스템의 안정도 판정 및 주파수 영역설계 현대 제어방법에 의한 지능제어 그리고 실용지능 제어편 지능제어(GA, INN, SA, FUZZY)시스템 구성 주요 인공지능시스템을 숙지하고자 한다.
-
- 전기철도공학(Electric Railroad Engineering)
-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교통기관으로서의 전기철도는 오늘날 수송수요증대에 대처하여 열차 속도의 고속화, 고 밀도화를 가능케 하는 한편 수송효율 및 여객서비스 향상과 안전확보를 위한 제반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철도의 電化,지하철, 고속철도, 자기부상철도 등 전기 철도 시스템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기철도의 제 기술과 발전에 대한 지식정보를 제공하고 전철, 전력, 신호, 통신 등 전기철도 제 분야를 심도 있게 학습할 수 있는 토대를 형성한다.
-
- 전력전자 실습(Experiment of Power Electronics)
- 본 과목은 Power MOSFET, IGBT, GTO 등의 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기본으로 한 converter, inverter, motor control, SMPS, simulation 등의 내용을 실험 실습하여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첨단 전력제어기술을 습득한다.
-
- 디지털회로 실습(Experiment of Digital Circuit)
- 디지털 이론을 실습을 통하여 익히고 제반 디지털 관련회로의 해석 및 설계 능력 을 배양하고 컴퓨터 공학 및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실험을 한다.
-
- 전력계통공학(Power Transmission Engineering)
- 송배전계통개요, 3상 및 단상계통, PU단위계, 선로수정, 고장 해석 등 전력계통을 설비해석과 시스템해석차원에서 학습함으로서 전력공학에 대한 미시적, 거시적, 안목을 고양시켜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전기분야의 엔지니어로서의 능력을 배양시키는데 중점을 두고자한다.
-
- 전력전자 공학(Power Electronics Engineering)
- 스위칭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전기 에너지의 변환 원리를 이해시키고 컨버터, 인버터, 초퍼 등 각종 반도체 전력 변환 회로의 특성 해석을 통해 스위칭을 포함한 회로를 모델 링 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며 회로의 설계 기술, 제어 기술 및 전원장치, 서보 장치 등에의 응용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소방 원리 및 구조(Fire Protection Electrical SystemⅡ)
- 소방시설 중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콘센트설비, 자동화재속보설비, 전기화재경보설비, 유도 등 설비 등의 동작의 이해뿐만 아니라 논리회로 Sequence 등의 실습으로 현장실무에 적용하여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 제어기기(Control Machinery)
- Power MOSFET, IGBT, GTO 등의 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기본으로 한 converter, inverter, motor control, SMPS, simulation 등의 내용을 습득하여 산업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첨단 제어기술을 습득한다.
-
- 로보트공학 (Robotics Engineering)
- 로봇공학의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로봇 시스템의 전반적 이해, 프로그래밍 및 조작을 가능하게 해주고 나아가 로봇의 개발에 필요한 매니퓰레이터의 기구학, 동역학, 그리고 제어기의 특성 파악에 필요한 제어이론 및 알고리즘 등을 학습한다.
-
- PLC 실습 Ⅰ,Ⅱ(Experiment of Programmable Logic ControlⅠ,Ⅱ)
- 프로그램 논리 제어기(PLC)를 현장에서 능숙하게 다루게 하기 위하여 많은 시퀀스 회로를 해석하고 설계하면서 현장에서 직접 적용 가능한 실험을 한다.
-
- CAD I, II실습 (Experiment of CADI, II)
- 전기설비설계 작업에서 컴퓨터로 설계도면화 할 수 있는 CAD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조명설비 실습(Experiment of light equipment)
- 본 과목은 시각 환경에 대한 개인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공간적 개성과 전문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조명 설계와 저명 설비에 관한 광범위한 지식과 다양한 기술을 읽히고, 웹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연구 및 실무를 습득한다.
-
- 계장제어 실습 (Experiment of Instrument Control)
-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디지털 연산 처리이며 피드백 제어에 가해져 배치 제어와 시퀀스 제어가 제어 시스템의 실장 고 밀도화, 기능의 고도화가 급속하게 진전되어 FA뿐만 아니라 디스크리트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하는 FA를 포함해서 공장 전체 오토메이션(토털 FA)의 방향으로 실습하고자한다.
-
- 신호 및 시스템(Signal and System)
- 본 과목은 연속신호 및 시스템을 시간 및 주팟 후 영역에서 수식적으로 표현하고 표현된 수식을 푸리에 변환 및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시키는 데에 있다.
-
- 전기회로(Electrical Circuit)
- 본 과목은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소자인 다이오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OP-Amp 등의 구조와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자회로의 설계 개념 및 응용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 에너지 변환공학 (Energy Convert Engineering)
- 전동력이 다른 동력보다 제어가 쉽다는 것이 특징이고 기계의 효율적 운전, 제품 원가의 저감 품질 및 생산속도의 향상 등에 전동력에 근원이 되는 전동기 제어의 기대가 되고 그 공정에 따라 적합한 제어방식은 전력증폭기기의 발달 전자장치의 개입에 의해 자동조작에 영감까지 확장되고 제어에 대한 중요성이 갈수록 증가하는 형편이다.
-
-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processor)
- 8/16비트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 및 프로그래밍 기법 등에 관해 학습하고 과제수행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응용능력을 습득한다.
-
- 마이크로프로세서실습 (Experiment of Microprocessor)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원리 및 구조, 기억장치, 마이크로 동작, 레지스터, 전송언어 등 을 이해하고 프로그래밍 할 수 있도록 학습하며 외부 제어장치를 조립, 구동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One-chip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의 원리를 파악하고 CPU 보드 및 응용보드 설계를 이해하면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내부구조, 외부 인터페이스, 각종 응용예제에 대해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