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영역
공통과정
-
- 레저스포츠학개론 (Introduction to Leisure Sports)
-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정립하고,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의 역사와 다른 나라의 여가에 대한 이해를 통해 레크리에이션 지도 시 필요한 역량을 배양한다.
-
- 스포츠심리학개론 (Introduction to Sports Psychology)
- 스포츠상황에서 발생하는 인간의 행동의 과학적 탐구 및 심리학 원리의 이해함으로써 운동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심리학적 이론을 학습한다.
-
- 여가스포츠의기술과조직이해능력 (Understanding of Leisure Sports Skills & Organization)
-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국제적인 추세를 포함하여 조직의 체제와 경영에 대해 이해하는 능력을 익힐 수 있다.
-
- 운동과건강관리학 (Exercise and Health Care)
- 운동을 통해 건강관리 및 증진을 통해 건강관리의 원칙과 방법에 대한 과학적이고 기초적인 이론을 학습한다.
-
- 여가와스포츠문화 (Leisure and Sports Culture)
- 여가 및 스포츠문화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도우며, 여가 및 스포츠분야의 시장과 국내외 사례 등을 조사 연구한다.
-
- 운동과건강관리학 (Exercise and Health Care)
- 운동을 통해 건강관리 및 증진을 통해 건강관리의 원칙과 방법에 대한 과학적이고 기초적인 이론을 학습한다.
-
- 스포츠심리학개론 (Introduction to Sports Psychology)
- 스포츠상황에서 발생하는 인간의 행동의 과학적 탐구 및 심리학 원리의 이해함으로써 운동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심리학적 이론을 학습한다.
학과교양
-
- 여가스포츠의기술과조직이해능력 (Understanding of Leisure Sports Skills & Organization)
-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국제적인 추세를 포함하여 조직의 체제와 경영에 대해 이해하는 능력을 익힐 수 있다.
-
- 여가스포츠의의사소통과문제해결능결(Communication & Problem Solving of Leisure Sports)
-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첩촉하게 되는 사람들과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원만하게 지내는 대인관계능력 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정도를 찾아내는 정보능력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함이다.
스포츠헬스케어전공
-
- 구급및안전관리(Safety and First Aids)
- 운동환경 안전관리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체계적인 지도와 지침을 통해 운동환경의 안전을 관리하고 운동수행 시 발생되는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 구기스포츠(Ball Sports)
- 생활체육분야에서 가장 빈번히 활용되고 있는 구기 종목을 선택하여 실기와 이론을 병행함으로써 경기기술 향상과 지도 능력을 배양한다.
-
- 스포츠실기지도입문(Introduction to Sports Practical Guidance)
- 골프기술실습에 필요한 사항들을 학습하고 체득하여 생활스포츠 지도자로서의 자질함양은 물론 졸업 후,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유능한 생활스포츠 골프지도자 육성에 있다.
-
- 스포츠재활치료기초(Fundamentals of Sports Rehabilitation)
- 선수스포츠 체력육성지도는 개인의 능력에 맞추어 유산소, 무산소 및 기능성 등의 적합한 트레이닝 방법을 적용하여 신체적인 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을 지도하는 능력이다.
-
- 동계스포츠(Winter Sports)
- 대표적인 동계스포츠인 스키와 스노보드 종목의 실기지도와 규칙을 익혀 해당종목의 생활체육지도자로서의 배양한다.
-
- 스포츠상해예방과안전(The prevention of injury&safety)
- 스포츠활동에서 야기되는 운동 상해와 부상에 대한 예방과 안전에 대한 기본적 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
- 스포츠생리학(Sports physiology)
- 운동 시 일어나는 인체의 기능적인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움직임을 수행하는 골격계와 육계 및 신경계, 호흡순환계, 근력 향상이나 성인병 예방과 관련된 트레이닝과 운동처방, 신체조성, 및 체중조절 등에 관련하여 다양한 지식을 익힌다.
-
- 스포츠실기지도기초(Basic Instruction on Sports Skill)
- 레저스포츠 종목 중에서 스포츠계층화의 상위에 속해있는 골프종목을 선정하여 이 종목을 통해 개인의 여가와 선용의 방법을 체득해하고, 골프에티켓을 함양하여 개인의 인적수양은 물론, 골프기량향상을 도모하여 자격증 등을 취득 후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함양하여 훌륭한 골퍼지도자를 배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 스포츠영상기록분석(Analysis on Sports Video Record)
- 스포츠상황에서 사용되는 주요 근골격계을 익혀 변화 및 활용방법에 대해 피드백 할 수 있으며, 영상기록을 통한 신체의 기능적 변화의 원인과 정확한 평가 및 진단 분석적 사고력을 높힌다.
-
- 스포츠재활치료총론(General Theory of Sports Rehabilitation)
- 스포츠 및 운동에서 발생하는 상해를 이해하기 위해, 해부학·생리학ㆍ의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상해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재활 치료에 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스포츠현장에서 발생하는 외상을 예방하고 평가하며 이에 따라 치료 및 상해 부위별 프로그램의 특성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학습한다.
-
- 운동역학(Sports Kinesiology)
- 운동에 관련된 움직임의 원리를 중심으로 스포츠기능 수행에 효과적인 동작을 분석하고 이해한다.
-
- 트레이닝방법론(Training Methodology)
- 운동선수들의 트레이닝을 통하여 신체의 적응능력 향상과 재활훈련의 계획적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트레이닝의 실천 방법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트레이닝 방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습득한다.
-
- 필라테스실기기초(Pilates practice foundation)
- 움직임에 관한 기본 원리를 연구하며, 기초 필라테스 역사 및 필라테스 기본 동작에 관한 수업이다.
-
- 라켓스포츠(Racket Sports)
- 생활체육분야에서 각광받는 라켓종목을 선정하여 이론과 실기를 병행함으로써 지도능력을 배양하여 졸업 후 훌륭한 생활체육지도자로써 역할을 담당 하게 한다.
-
- 스포츠실기지도중급(ntermediate Instruction on Sports Skill)
- 골프를 배우는 일반인들에게 골프의 수행력능력을 향상시키고 유지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반적 이론 내용을 정확하게 알려주기 위해 필요한 학습 능력이다.
-
- 스포츠의학개론(Introduction to Sports Medicine)
- 인체의 생리적 변화와 적응현상을 체육학적 의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그에 따른 융합학문의 지초 이론을 학습한다.
-
- 신체해부학(Physical Anatomy)
- 근육과 뼈의 해부학적 측명에서 구초와 기능간의 역학구조와 체계를 이해하고 학습한다.
-
- 운동처방론(Exercise Prescription)
- 개개인의 체력에 적절한 운동의 양과 질을 결정하는 것으로 최적의 운동을 수행하는데 가장 적합한 운동의 내용을 결정 할 수 있는 기본 이론을 학습한다.
-
- 체력과헬스케어연구(Physical Strength and Healthcare Research)
- 운동과 건강에 관련된 기초이론과 효과적인 운동방법은 물론 4차산업혁명의 중심인 헬스케어 산업에 대해 학습한다.
-
- 하계스포츠(Summer Sports)
- 다양한 수상 및 해양스포츠에 대한 실기경험과 지도법 학습을 통해 스포츠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 스포츠마사지의이론과실제(Theory and Practice of Sports Massage)
- 스포츠마사지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함으로써 마사지를 통한 골격계 질환자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의학적인 이론과 현장적용에 실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론 및 기술을 습득하고 실습한다.
-
- 스포츠사회학(Sports Sociology)
- 스포츠에 대한 사회학적 시각과 관점을 높이며 특히 오늘날 사회전반에 걸친 스포츠의 영향력과 제반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해함으로써 스포츠의 사회학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
- 스포츠실기지도심화(Advance Instruction on Sports Skill)
- 이 종목을 통해 개인의 여가와 선용의 방법을 체득해하고, 골프에티켓을 함양하여 개인의 인적수양은 물론, 골프기량향상을 도모하여 자격증 등을 취득 후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함양하여 훌륭한 골퍼지도자를 배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 스포츠연구법(Method of Sports Research)
- 신체활동 연구방법론으로서의 체육과 스포츠과학을 위한 연구법 개요, 연구의 유형별 연구방법, 연고보고서와 논문의 작성요령을 다룬다.
-
- 스포츠외서강독(Sports Relatel)
- 스포츠(골프)와 관련된 원서를 읽고 이해하며, 골프어원의 어원적 의미를 살펴보며 관련 대화를 익힌다.
-
- 운동처방과트레이닝실습(Exercise Prescription and Training Practice)
- 운동처방과 트레이닝에 관련된 학문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운동처방과 트레이닝을 실시함으로써 이에 따른 이해를 통해 운동처방과 트레이닝의 실제를 학습한다.
-
- 체육측정평가(Sports Measurement and Evaluation)
- 일상생활을 통하여 나타나는 근골격계의 변화 및 건강을 이해하고, 이에 대처할 수있는 의학적 이론을 습득하여 신체의 기능적 변화의 원인과 정확한 평가 및 진단을통한 분석적 사고력을 학습한다.
-
- 헬스케어캡스톤디자인 (Healthcare Capstone Design)
- 건강과 관련된 분야에서의 복잡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 및 실제로 적용 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고자 한다.본 교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접근 방식과 창의적인 사고를 키우게 됨으로서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기여할 준비를 해볼 수 있다.
-
- 레저스포츠산업론(Leisure Sports Industrial Theory)
- 스포츠산업이 전문화 되고 특성화 되어감에 따라 스포츠산업의 제 분야도 다분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포츠 상황에 적용 가능한 스포츠산업의 기본 이론과 실제적 적용방법을 학습한다.
레저산업전공
-
- 레저실기기초(Basic Leisure Practical Skill)
- 수영 교육을 통하여 물에 대한 적응능력을 배우고 나아가 수영지도자를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
- 유아여가프로그램개발 (Early Childhood Leisure Program Development)
- 유아활동지도란 인간형성의 근간을 이루는 유아기의 어린이에 대하여 그들의 특징에 유의하고 그 발달단계에 근거하여 적절한 방법의 신체활동을 통하여 장차 건강하고 자주적인 일꾼으로서의 육성을 도모하는 교육이다.
-
- 응급처치 (First Aid)
- 가정이나 야외생활에서 사고를 예방하며, 위급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자기 자신을 지키고, 질병으로 인한 환자나 사고로 발생한 부상자에게 즉각적이고 임시적인 적절한 처치와 보호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
-
- 4차산업과빅데이터레저마케팅론 (4th Industry and Big Data Leisure Marketing Theory)
- 4차산업혁명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레저산업현장과 마케팅에 필요한 빅데이터기반 마케팅 지식을 학습 및 향상 시킨다.
-
- E-스포츠및스마트비즈니스 (E-sport and Smart Business)
- 최근 청소년들에게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있는 e-sport 실무를 학습하고, 4차 산업의 발달로 인해 수요가 급증하는 e-sport를 활용한 스마트 비즈니스에 대하여 학습한다.
-
- 동계스포츠(Winter Sports)
- 대표적인 동계스포츠인 스키와 스노보드 종목의 실기지도와 규칙을 익혀 해당종목의 생활체육지도자로서의 배양한다.
-
- 레저실기심화 (Advanced Leisure Practical Skill)
- 스킨스쿠버 실습을 통해 수중생태계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으며 수중에서의 활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킨스쿠버 자격과정 취득으로 취업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 레저이벤트실무기초 (Basic Practice for Leisure Event)
- 여가 레크리에이션 분야의 기획을 중심으로 기획의 목표, 방법, 절차 및 진행기술을 익히고 개발한다.
-
- 레저행정관리론 (Leisure Administration Management)
- 행정, 관리 및 경영의 기본개념을 익히고, 공공기관의 여가정책과 민간조직에서의 여가관련 산업의 관리 및 경영에 대한 고찰을 기본 전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여가관련 인사관리, 여가시설 및 공간관리, 여가프로그램관리, 재무관리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중견 여가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
- 여가프로그램개발심화(Advanced Leisure Program Development)
- 현대사회는 여가에 대한 필요성 및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알아보고 경험하여 여가프로그램 지도자로서의 지식과 덕망을 갖추고자 합니다. 학생들의 의견 수렴에 따라 현장실습을 실시할 수 있다.
-
- 집단지도 (Social Group Work)
- 실무중심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집단의 경험을 통하여 소통의 기술을 익히며, 자신을 발견하고 개인의 잠재능력을 개발함으로서 전문분야의 지도력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
- 레저관광산업과전망 (Leisure Tourism Industry and Prospect)
- 레저관광산업과 전망에 대하여 이해도를 놓이고 이론과 간접체험을 통하여 필요한 레저관광산업을 이해하고 산업현장에 적용할 프로그램을 실행 및 작성한다.
-
- 레저산업과시장조사 (Leisure Industry and Market Research)
- 레저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시장조사 이론 및 국내 레저산업 관련 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토론을 실시한다. 또한, 직접적인레저산업 관심 프로그램을 시장조사 계획부터 분석방법을 경험할 수 있도록 수업을 운영한다.
-
- 레저안전지도 (Leisure Safety Guidance)
- 여가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 위급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자기 자신을 지키고, 질병으로 인한 환자나 사고로 발생한 부상자에게 즉각적이고 임시적인 적절한 처치와 보호를 행할 것을 목표로 한다.
-
- 레저이벤트실무심화(Advanced Practice for Leisure Event)
- 여가 레크리에이션 분야의 기획을 중심으로 기획의 목표 방법 절차 및 진행기술을 익히고 개발한다.
-
- 레저힐링산업 (Leisure Healing Industry)
- 기관 및 시설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레크리에이션 게임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역량을 배양하고자 한다.
-
- 여가프로그램실기기초(Basic Leisure Program Practice)
- 여가프로그램의 실기를 학습하고자 한다. 또한 이외에도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여가프로그램과 관련된 현장실습을 실시하여 학습할수도 있다.
-
- 행사진행기초(Basic Event MC)
- 현장중심의 레크리에이션 지도자 양성을 위해 다양한 대상에 맞는 실내 게임을 계획하고 실습하여 게임을 진행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 지식과 인격을 겸비한 전문 레크리에이션 지도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
- 행사진행심화(Advanced Process of Events MC)
- 현장중심의 교육을 통하여 게임지도 현장에서 꼭 필요한 지식과 덕망을 겸비한 인간형을 바탕으로 게임지도에 필요한 전문직업 기술을 연마하여 다양한 대상과 목적에 맞는 야외 게임과 민속놀이 및 전래놀이를 계획하고 진행 할 수 있는 역량과 게임의 규칙과 지도방법을 이해하고 게임 평가기준에 따른 게임 진행 능력을 배양한다.
-
- 레저산업실무심화(Advanced Leisure Industry Practice)
-
추구하는 산업분야에 대한 사전 실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론적 접근에서 벗어나 해당 산업 기관의 자율적인 참여 실습 활동을 통해 사회 능력 향상 및 심도있는 실무 교육의 장을 제공한다.
-
- 레저캡스톤디자인(Leisure Capstone Design)
- 창의적 종합설계 능력을 갖춘 레저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으로 수강생들이 팀을 구성하여 기존 교과를 통해 습득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주제 등을 졸업작품을 통해 스스로 기획에서 실행을 해 봄으로써 소통·협업 능력을 향상시키 고자 하는데 있다.
-
- 여가프로그램실기심화(Advance Instruction on Sports Skill)
- 여가프로그램 개발 심화는 청소년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실제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실제로 프로그램 개발을 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데 초점을 두고서주로 청소년에 맞는 여가프로그램을 알아보고 이를 적용하여 여가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 진로와이미지연출(Career and Image Making)
- 자신의 진로에 관하여 로드맵과 롤을 만들고 성공적인 이미지의 연출을 위하여 개개인의 개성을 찾는 시간을 가진다. 학생들의 의견 수렴에 따라 현장실습을 실시 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