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영역
-
- 공학 기초 수학 ( Engineering basic mathematics )
- 공학의 기본이 되는 수학 과정으로 기계, 전자, 통신 및 계측제어 공학등의 학문을 전공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수학적 기법을 익힌다. 수의 전반적인 개념과 행렬, 복소수, 미적분, 백터 등을 학습한다.
-
- 파이썬 프로그래밍(Python programing)
- 파이선을 통하여 프로그래밍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문제에 대하여 논리적인 해결 과정의 수립 및 설계에 대한 사고력 증진을 목표로 한다. 파이썬의 기본적인 문법인 변수와 데이터형, 제어문, 자료구조, 함수화 등을 학습하여 소프트웨어 중심사회의 필요 역량을 증진한다.
-
- Matlab 기반 수치 해석(Matlab-based numerical analysis)
- Matlab을 이용하여 다양한 공학적인 문제해결을 할 수 있다. 기본적인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익히고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 및 기본적인 이벤트 처리, 다양한 컨트롤 사용법 등을 학습하고 복잡한 공학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 전기공학 개론(Introduction to Electrical Engineering)
- 전기 및 전자회로를 이해, 분석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기본 적인 물리 법칙 및 전기·전자 소자의 동작 원리 및 특성을 학습한다.
-
- 기초전기전자 실험((Electrical and electronic practice)
- 전기공학을 이해하는데 기본적인 전기전자현상들을 취급하기 위한 각종 계측기의 조작방법을 습득하고 기본적인 전자기 회로의 물리현상들을 계측기를 이용하여 실험, 추론함으로써 전기기술자로서의 공학적 감각을 개발한다.
-
- 엘리베이터개론(Elevator Introduction)
- 승강기안전관리법에서 정의하는 엘리베이터의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엘리베이터의 구조, 기본적인 기능 및 엘리베이터 산업의 구성과 역할, 기본적인 엘리베이터 용어 등을 학습하여 엘리베이터 전체 구성을 이해한다.
-
- 일반물리(Principles of physics)
- 엘리베이터의 운동 역학을 기본으로 동력학, 운동량, 각운동량, 에너지 등을 학습하여 운동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엘리베이터 운전에 활용 할 수 있게 한다.
-
- C 프로그래밍( C Programing )
- 하드웨어 제어와 제어 로직 개발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C언어를 이용하여 고급 수준의 프로그래밍 기술을 익힌다. 특히 C언어의 특징인 포인터를 이용한 하드웨어 제어, 전처리를 이용한 고급 프로그래밍 기술, 컴파일러 사용법 등 C언어에 특화된 프로그래밍 방법에 대해서 공부한다.
-
- 회로이론(Network Analysis)
- 전기 현상을 다루는 가장 기초적인 이론으로서, 전류, 전압 전력 등의 물리 단위와 그 물리량의 공학적 표현 방법 및 회로 소자들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학습한다. 또한 다양한 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회로 해석 및 설계 기술 등을 학습한다.
-
- 디지털 제어 기초(Digital Control Basics)
- 제어시스템의 해석 및 운용에 대하여 학습한다. 학습 내용으로는 자동제어에 대한 개요, 전달함수, 상태방정식, 블록선도, 신호 흐름선도,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 안정도 판별법, 제어 시스템의 시간영역 해석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
- 전자회로 실험(electronic circuit practice)
- 실험과 설계를 통한 회로이론 및 전자회로의 기초지식 확인과 회로설계응용 능력을 배양하기 전자회로 시험. 특히, Ohm의 법칙과 키르히호프의 법칙 등 회로 기초이론, R, L, C회로와 회로정수의 측정실험, 전자소자 및 장치의 특성 실험, Thevenin 정리, Norton 정리, 직/병렬회로, 분류기 및 분압기 회로, 중첩(Superposition)의 원리,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의 동작원리에 관하여 실험을 통하여 학습한다.
-
- 기계공학 개론( Mechanical Engineering Introduction )
- 엘리베이터 기계 부분의 이해를 위한 기초 기계이론(기계재료, 기계공작법, 기계요소의 설계, 유압계)등을 학습 한다.
-
-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 CPU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루는 컴퓨터 연산장치를 이루는 주요 장치인 입력 장치, 출력장치, 기억장치, 제어장치, 연산장치 등을 이해하고 이를 하드웨어 구조를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장치의 구동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응용 할 수 있다.
-
- 전력전자(Power electronic)
-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전력변환 방법 및 이용에 관한 내용을 강의한다. 전력용 반도체소자의 종류와 특성, 전력의 개념, 교류-직류, 직류-직류, 직류-교류, 교류-교류 변환방법 및 회로, 응용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전력변환회로 설계에 대한 실습을 수행한다.
-
- 전기기기(Electric Machinery)
-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전기기기(변압기, 발전기, 전동기) 종류와 구조 특징 및 유지보수 방법(변압기, 동기기, 유도기, 직류기 등의 구조, 기본 이론 및 회전 원리 )등을 학습한다.
-
- AUTOCAD 1
- 엘리베이터 주요 기계 부품과 엘리베이터 설치도면 설계를 위한 auto cad 기초 명령 및 도면 작성(cad 명령 실습, 기계제도 기초이론, 도면 작도 방법, 치수 및 공차 입력) 기계부품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적 설계지식을 대하여 배운다. 기계설계의 기초인 역학개념을 포함하여 설계방법의 소개, 부품재료, 부품파손사례, 나사, 키, 핀, 용접이음, 축, 스프링, 베어링 요소 등의 기계부품중 주로 정적요소에 대하여 배운다.
-
- 엘리베이터디지털트윈 실습( Elevator Digital Twin Practice )
- 엘리베이터 기계 설계의 핵심 역량인 3D설계 프로그램의 기초적인 사용법을 실습을 통하여 학습하고, 기계부품의 3D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
- 엘리베이터 점검 VR 실습 1( Elevator Inspection VR Practice 1 )
- 전기실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행을 위한 수시, 정기 검사방법을 VR을 이용하영 실습한다. 전기식엘리베이터의 검사 기준 및 검사 방법 절차에 따라 설치검사 준비, 자체검사 실시, 인수인계, 완성검사 수검 등을 실습한다.
-
- 임베디드 시스템 응용 실습( Embedded system application practice )
- ATMEGA128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입출력을 통한LED 제어, 키 입력 등을 학습하고 더 나아가 인터럽, 타이머 및 PWM제어, 통신 및 센서 입력등을 학습한다.
-
- 엘리베이터모터 제어 실습(Elevator Motor Control Practice)
- 엘리베이터의 사용되는 전동기의 기본적인 회전 원리 및 구동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또한, 기본기인 모터의 튜닝이론을 학습하여 모터 계수 튜닝을 실시 할 수 있다.
-
- AUTOCAD 2
- 엘리베이터 주요 기계 부품과 엘리베이터 설치도면 설계를 위한 Auto cad 심화 및 엘리베이터 주요 부품, 엘리베이터 설치도면 설계 실습하고 KS 규격 준거하여 기계 실습, 엘리베이터 부품 및 설치 도면 실습한다.
-
- DT 기반 엘리베이터설계 1(Digital Twin based elevator design 1)
- 3D 기반의 기계요소를 설계 하고, 각 부품별 결합요소를 이해한다. 또한, 결합된 장치를 동작시키고, 이애 대한 부하 측정과 최적화 방법을 학습한다.
-
- 엘리베이터 점검 VR 실습 2( Elevator Inspection VR Practice 2 )
- 전기실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행을 위한 수시, 정기 검사방법을 VR을 이용하영 실습한다. 전기식엘리베이터의 검사 기준 및 검사 방법 절차에 따라 설치검사 준비, 자체검사 실시, 인수인계, 완성검사 수검 등을 실습한다.
-
- 엘리베이터 설치 VR 실습(Elevator Installation VR Practice)
- 엘리베이터의 설치 전반적인 설치 과정을 학습하며, 관련 법령 및 안전 수칙 숙지, 건축도면에 따른 건축물 기준선 확인, 출입구 상하부 형판설치 등을 포함한 전기 설치, 기계 설치 과정을 VR를 통하여 학습한다.
-
- 엘리베이터구동 및 제어 시스템(Elevator drive and control system)
-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과정에 대하여 학습한다. 승강이의 행선 층으로의 이동, 전동기의 구동 시퀀스 및 제동 시퀀스 등을 엘리베이터 제어 전반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엘리베이터통신 및 IoT 실습( Elevator communication and IoT practice )
- 엘리베이터에서 사용되는 주 제어장치와 기타 장치간의 CAN통신 및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IoT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더넷 통신 등의 통신 구조 및 시스템의 구조를 실습을 통해 이해한다.
-
- DT 기반 엘리베이터설계 2( Digital Twin based elevator design 2 )
- ‘DT 기반 엘리베이터설계 1’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동적 요소를 파악하고 재질에 대한 이해와 기계 부품의 수명을 예측 해석 방법을 학습한다.
-
- 엘리베이터 트러블 슈팅(Elevator trouble shooting)
- 엘리베이터의 기계-제어설비의 고장처리, 고장의 발생부를 인지하고 원인 분석 및 조치 방법을 학습한다. 고장처리 절차 수행, 기계적 고장 처리, 진동 소음 처리, 안전회로 고장 처리, 소프트웨어 고장처리 등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
- 엘리베이터안전관리(Elevator Safety Management)
- 엘리베이터 설치와 정비에 관련된 작업 시, 안전관리 사항의 확인 및 안전관리 장구의 준비를 통해 현장에서의 안전을 미리 확보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엘리베이터 설치와 정비 시 기계, 전기 안전에 기준 숙지 및 행동요령( 안전관리사항 확인, 안전관리 장구 준비)를 학습하여 엘리베이터 전 과정에서 안전관리에 대하여 학습한다.
-
- DT 기반 캡스톤 디자인( Digital Twin-based capstone design )
- 디지털트윈 기반의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창을 설계 실시하고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 엘리베이터원격 점검( Elevator Remote Inspection )
-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24시간 모니터링, 고장 감지 및 원격 고장 처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고장 예측, 및 제품 수명 예측 등의 사전 서비스 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원격점검을 통한 정기 검사와 통계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 방법을 이해한다.
-
- 엘리베이터전기설비 고장 처리 ( Elevator electrical failure handling )
- 엘리베이터의 전기설비 고장발생시 고장처리 절차에 따라 고장원인을 수리하여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과정을 학습한다. 엘리베이터 내의 제어 장치, 통신 장치, 인버터 장치 및 입출력 장치들의 고장을 분석 처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현장 적응 능력을 배양 한다.
-
- 엘리베이터기계설비 고장 처리 ( Elevator mechanical failure handling )
- 엘리베이터의 전기설비 고장발생시 고장처리 절차에 따라 고장원인을 수리하여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과정을 학습한다.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착상관련 고장, 소음과 기계 진동 등 기계장치의 고장을 분석 처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현장 적응 능력을 배양 한다.
-
- 에스컬레이터 설치 및 점검 VR 실습( Escalator installation and inspection VR practice )
- 에스컬레이터 구조 및 규격, 주요안전 장치, 에스컬레이터 설치, 점검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VR로 실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