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영역
-
- 패션마켓분석
- 패션시장을 파악하기 위하여 트렌드정보 자료를 수집하고 소비자분석, 자사와 경쟁사 현황 분석을 통해 패션시장조사를 수행하는 직무에 관해 학습한다.
-
- 모던패션디자인론
- 패션디자인을 위하여, 패션디자인의 요소 및 원리에 대한 기본지식을 익히고, 아이디어구상을 하며, 디자인을 완성한 후 수정 보완하기를 수행하는 능력을 키운다.
-
- 패션스타일화실습
- 창의성과 자기계발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아이디어 스케치를 기반으로 핸드 드로잉을 이용하여 디자인 디테일을 정리하고 도식화, 스타일화를 통해 디자인을 완성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 패션테크니션
- 창의력을 바탕으로 실무에서 필요한 솔기와 스티치 종류에 적합한 봉제기기, 봉제보조기, 봉제방법을 제시하고 생산하는 단계별 작업을 실습하고 최종 제품 디자인 생산지시서 작성법 및 주문생산 시스템을 이 해방법을 학습한다.
-
- 디지털패션실무
- IT 기본 소양 함양을 위한 IT 연계 전공실무 교과목으로, 트렌드정보 자료를 수집하고 소비자를 분석하여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는 패션산업의 정보수집 전반에 대해 학습한다.
-
- 패션문화와 디자인
- 동서양의 고대복식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서양의복의 특징을 고찰하고 분석한다. 의복의 의미가 사회적 환경과 인간본질, 미적특성과 인류의 진화심리 속에서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에 대하여 심도 깊게 학습한다.
-
- 패션브랜드기획
- 브랜드의 시즌 전략기획을 위하여 소재 별 아이템을 기획하고 월별 출고 상품을 구성하여 그에 따른 예상판매가를 제안하는 능력이다.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시즌에 따른 콘셉트를 구상하고 소재 기획, 아이템 기획 등 디자인 방향과 월별 출고상품 구성 및 예상 판매가를 제안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 의류소재과학실습
- 의류 소재의 성능, 사용 중에 일어나는 변화, 세제의 특성과 세탁의 원리, 소재별로 적합한 관리 방법, 의복의 수명과 폐기, 그리고 이러한 과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하고 시대적 경향에 적합한 소재를 선정하고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
- 패션드로잉도식화
- 국내외 트렌드 및 시장 경향을 고려하여 디자인 아이디어 소스를 선별하고 디자인 아이디어 소스를 수집·조사하고, 본 작업의뢰서를 작성하는 학습자의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봉제 작업지시서를 포함한 본 작업의뢰서 작성 능력을 통해 패션디자인 역량을 향상시킨다.
-
- 패턴디자인설계
- 제품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생산의뢰서를 바탕으로 샘플을 제작한 후, 공정 분석과 편성을 하여 레이아웃을 구성하고, 샘플 품평을 통해 생산 준비를 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평면과 입체 패턴을 포함한 패턴제작방법을 학습한다.
-
- 뉴쿠튀르모델리즘연구
- 본 교과목은 가죽 모피 의류 디자인의 아이템을 결정하고 생산지시서를 작성방법과 기술을 이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 패션디자인CAD
-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상을 표현하고, 수정. 보완하여 디자인 Map을 작성하는 교과목이다.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의상 디자인을 하기 위한 기본 기능을 익힘으로써 패션제품기획의 디자인기획 업무를 학습한다.
-
- 패션조형실습
- 여성복 샘플겉감패턴 제작에 필요한 사이즈와 패턴제작방법을 정하고 샘플겉감패턴을 제작방법을 학습한다.
-
- 텍스타일 염색
- 염료의 특성 및 염색방법, 염색 전후의 기타 부수적인 공정을 포함한 염색가공에 대해 기초적인 원리에서 실제 응용에 이르기까지를 강의 및 실험을 통해 익힌다. 또한 소재의 종류에 따른 적합한 염색 가공을 행하여 원하는 무늬와 텍스쳐를 표현하는 수공예적 제작기법을 실습한다.
-
- 컴퓨터의류설계
- IT 기본 소양 함양을 위한 IT 연계 전공실무 교과목으로 Yuka Pattern CAD 시스템을 사용하여 패턴 메이킹, 그레이딩, 마킹 등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공정을 컴퓨터로 활용하는 기술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패션제품기획의 패턴 제작 업무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 한복디자인
- 한복제작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고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강화하여 자기 주도형 프로젝트 진행을 통해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한복디자인을 기획하고 한복제작을 통해 패션디자인 역량과 의류제품 제작역량을 학습한다.
-
- 패션과빅데이터
- 빅 데이터 분석 및 데이터 활용 교육을 통해 미래 산업에 적합한 창의적 패션 콘텐츠를 개발하고 변화하는 패션 산업의 패러다임을 정확히 예측하고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패션전문가로서의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
- 테크니컬생산유통
- 어패럴 생산 시스템에서의 상품 개발 프로세스 분석을 통하여 테크니컬 생산유통의 실제를 학습한다. 패션상품의 품질이 최적의 상태로 완성되기 위하여 생산 전 샘플의 핏을 개선하고 봉제방법을 설정하고 원부자재의 특성을 학습한다.
-
- 표준현장실습학기제(I)
- 패션 전공과 관련된 업체에서 실습함으로써 현장에 대한 적응 능력을 키우고,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실기 능력을 실무와 연결시킬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또한 의류의 생산에서부터 패션제품의 소비에 이르기까지의 산업 전반에 대해 학습한다.
-
- 패션브랜드런칭실무
- 패션브랜드런칭실무 콘셉트를 구상하고,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 업무에 적용한다. 브랜드의 시즌 전략기획을 위하여 아이템을 기획하고 제작된 콘텐츠를 유통 채널별로 선정하여 콘텐츠 업로드를 위한 상품정보를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
- 패션소품개발과 생산
- 텍스타일 개발을 위한 여러 가지 텍스타일 표현기법 중 셔닐, 패치워크, 컷 아웃, 슬래시, 몰라 등 창의성과 실용성을 갖춘 텍스타일 조작기법을 익히고 리사이클링, 업사이클링을 통해 창의적인 패션소품을 제작하는 방법을 익힌다.
-
- 캡스톤디자인스튜디오
- 원단특성을 파악하고 재단작업 효율을 높이며 자신이 디자인 한 작품을 패턴제도, 재단하여 안감, 안단을 넣은 완성품 제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
- 의류기획디자인발상
- 프로젝트중심 교과목으로 시대의 역사성을 기반으로 팀별 컨셉에 따른 디자인 모티프를 설정하고, 아이템별 컬러와 스타일 등을 고려하여 현대 패션에 부합한 디자인 기획을 학습한다.
-
- 모자디자인
- 모자 상품에 대한 시장조사를 통하여 적절한 상품을 확보하고 구성하며 수주 및 납기를 관리하는 능력을 키운다. 시즌 테마를 도출하고, 이미지 표현 능력과 아이디어를 시각화한다. 모자 상품 기획은 모자상품에 대한 시장조사를 통하여 적절한 상품을 기획하고 구성하며 수주 및 납기를 관리하는 능력을 학습한다.
-
- 자율 현장실습학기제
- 패션 전공과 관련된 업체에서 실습함으로써 현장에 대한 적응 능력을 키우고,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실기 능력을 실무와 연결시킬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또한 의류의 생산에서부터 패션제품의 소비에 이르기까지의 산업 전반에 대해 학습한다.
-
- 표준 현장실습학기제(II)
- 패션 전공과 관련된 업체에서 실습함으로써 현장에 대한 적응 능력을 키우고,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실기 능력을 실무와 연결시킬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또한 의류의 생산에서부터 패션제품의 소비에 이르기까지의 산업 전반에 대해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