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영역
fnctId=deptintrcn,fnctNo=48

21세기를 선도하는
자동차인으로서의 끊임없는 도전!
자동차 정비 및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상담과 안내를 하는 정비상담(SA) 전문가 양성
- TEL 02.490.7417
- FAX 02.490.7417
- E-mail -
학과소개
- 학과소개 : 기계 및 자동차 전기전자에 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자동차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전문지식과 정비기술을 습득하여 자동차 정비 및 검사, 설계,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고, 친환경차 및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공지능(AI)을 기반한 자율주행차를 포괄하는 미래자동차를 정비할 수 있는 전문 기술인을 양성하고자 한다.
- 전공소개 : 1학년과정에서는 자동차 전공의 공통 교과목을 이수하고 2학년과정에서는 본인의 적성에 적합한 좀 더 세분화된 직무별 전공을 선택하여 이수하는 전공코스제를 운영하고 있다.
- [테크니션전공] 자동차공학을 바탕으로 자동차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학습하고 정비공구 및 측정 장비를 활용하여 진단 및 예방 정비, 하이테크 고장진단 등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고 정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서비스어드바이저전공] 자동차의 전문지식과 실무를 겸비한 능력을 바탕으로, 고객응대와 차량 수리요청에 대한 설명 및 조치, 보증수리 및 차량의 점검, 정비내역 설명, 고객 만족도 관리, AS 마케팅, 고객 사후관리 등의 전반적인 서비스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교육목표
- 학과는 자동차 기술인을 양성함에 있어서 자동차공학의 기본 과목과 더불어 자동차 공학 전반에 대한 이론 및 실습과 취업 저변확대를 위한 자동차 공학 및 기계공학 관련업체에서 중견 기술인을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자 함.
학과의 인재상
- 학과에서는 산학협력과 창의적인 사고를 지향하며 인성과 교양을 갖춘 전문 직업 기술인양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
- 현장 적응력을 갖춘 인재 : 다양한 교과과정을 준비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지식을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교육시켜 현장에 당면하는 문제 해결능력 배양
-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 : 자동차 정비실무와 부품 설계분야를 특성화하여, 이 분야를 중심적으로 교육하여 실무능력을 배양
- 창의력을 갖춘 인재 : 급변하는 산업사회변화를 예측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전공지식의 변화와 국내외 기술동향이 반영된 교과과정으로 창의력을 갖춘 전문 기술인 양성
- 이를 종합하여 다음을 학과의 인재상으로 설정하였음
“미래형자동차 분야를 선도할 창의융합형 인재”
학과의 교육목표
- 학과에서는 대학의 교육목표를 지향하여 학과의 교육목표를 설정하였음.
- 기계 및 자동차, 전기전자에 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자동차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전문지식과 정비기술을 습득하여 자동차 정비 및 검사, 설계,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고, 친환경차 및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공지능(AI)을 기반한 자율주행차를 포괄하는 미래자동차를 정비 및 상담할 수 있는 전문 기술인을 양성하고자 함
- 이를 함축하여 다음을 교육목표로 설정하였음
“ 현장실무 중심으로 최신장비와 하이테크 고장진단을 실시하고, 자동차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상담과 안내를 담당하는 자동차 정비 및 상담 전문가 양성 ”
취득자격증
- 자동차정비 기능사
- 자동차정비 산업기사
- 자동차 손해사정사
- 자동차 진단평가사
- 기계설계 산업기사
- 전산응용제도기능사
- 컴퓨터활용능력
- MOS
졸업 후 진로
- 취업전망 : 사회경제 발전으로 인한 미래지향적 자동차 및 친환경 자동차의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전문지식을 보유한 인력의 요구가 많아지고 있어 취업전망이 밝다.
- 진출직업 : 자동차정비사, 서비스어드바이저, 자동차검사원, 자동차 부품설계원, 손해사정사, 기계공학자, 리셉셔니스트, 마케팅전문가
학과특성
본 스마트자동차공학과는 1991년 자동차과로 신설인가 받아 1992년 3월 첫 입학생을 받았으며, 이후 2008년 4년제 학사학위과정인 전공심화과정을 우리대학에서 최초로 인가받아 운영한 바 있었음. 특히, 2010년부터는 전국 전문대학에서 유일하게 실차 엔진을 장착한 자작자동차를 제작하고 자체 경진대회를 11년간 실시하였음. 이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실차의 엔진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제작하는 자작자동차제작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학생들에게 학습의욕과 자동차인으로서의 자부심을 갖도록 하였음.
2022년 전국 최초로 자동차정비 직무 중 서비스어드바이저 직무를 반영한 전공을 개설하고 2023년 테크니션 전공과 서비스어드바이저 전공으로 나누어 운영하고 있음. 특히 2024년도부터는 ㈜BMW Group Korea의 BMW Technical Apprentice 교육기관으로 지정하는데 합의하여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이를 통해 BMW 전문 기술 인력 양성을 위한 특화 수업반을 편성하여 운영할 예정임.

이수체계도
- 스마트자동차공학과 LOADMAP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