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영역

교과과정
문화와 식생활, 공중보건학, 4차산업시대식품영양전망, 실험조리 및 식품평가, 베이커리디저트실습, 식품영양 진로탐색 및 자아개발, 식품분석실험, 영양생리학, 영양학, 고급영양학, 식품화학, 외식창업 및 마케팅, 한국음식연구 및 실습, 빅데이터 기반 식품영양정보관리 실습, 한국조리실습, 식품학, 단체급식관리 및 실습, 영양화학실험, 생화학, 고급생화학, 환경위생학, 글로벌푸드조리실습, 기능성식품, 임상영양 및 실습, 식품위생관계법규, 식품위생학, 조리원리, 식품미생물학 및 실습, 식사요법 및 실습, 영양판정 및 실습, 영양교육 및 상담, 지역사회영양학, 식생활관리 및 실습, 급식경영학, 식사관리특론, 영양관리특론, 생애주기영양학, 영양사현장실습, 영양사 실무, 식품영양 취업준비실무
-
- 식생활과 문화 (Dietary Culture)
- 우리나라와 세계 각국의 음식문화 및 역사에 대하여 학습하고, 현대의 음식문화 산업에 대해 살펴본다.
-
- 공중보건학 (Public Health)
-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환경위생, 전염병의 관리, 질병의 조기진단과 예방방법을 습득한다.
-
- 실험조리및식품평가 (Experimental cooking and food evaluation)
- 여러 식품재료를 사용하여 물리·화학적 실험을 통해 변화되는 현상을 관찰하고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평가하여 조리과학 이론을 확인함으로써 식품성분 상호간 변화원인과 메커니즘을 이해한다.
-
- 제과제빵실습 (Making of Bakery Product)
- 제과제빵에 대한 전문적인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모든 제조공정을 이해한다.
-
- 식품분석실험 (Laboratory Of Food Analysis)
- 식품 분석의 기초지식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
- 영양생리학 (Nutritional Physiology)
- 인체의 일반적인 생리현상을 이해시키기 위하여 각 기관의 기능을 구조와 연관시켜, 정상기능과 이상기능 등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인체생리의 지식을 습득한다.
-
- 영양학 (Nutrition)
- 영양소의 개념을 습득케 하고 식품을 통하여 섭취된 영양소가 인체 내에서 소화·흡수·대사되는 과정을 습득한다.
-
- 고급영양학 (Advanced Nutrition)
- 기초영양학을 토대로 하여 영양소간의 균형, 상호관계 및 각각의 영양소의 생물학적 대사를 중심으로 최신 영양문제를 다룬다.
-
- 식품화학 (Food Chemistry)
- 식품의 일반 성분들의 대한 설명을 기본 지식으로 식품의 이화학적 특성에 의한 식품의 변화를 습득한다.
-
- 외식창업 및 실습 (Foodservice Business Start-Up & Management)
- 외식산업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이해하고 외식사업 기획에 필요한 브랜드 콘셉트 개발과 사업화 과정을 학습함으로써 외식창업에 대한 통합적 지식과 현장에서의 실무 적용능력을 습득한다.
-
- 한국음식연구 및 실습 (Korean Cookery Principle and Practice)
- 한국음식의 역사와 문화, 특징 등 전반적인 개요를 이해하고 기본 조리용어와 조리기능을 습득하여 조리기능사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한다.
-
- 한국조리실습 (Korean Cookery Practice)
- 한국음식의 조리법, 음식의 특성 한식기명, 조미료, 향신료 및 고명 등의 한국조리의 특성을 익히고, 기초적인 조리방법을 실습을 통해 익히도록 한다.
-
- 식품학 (Food Science)
- 식품의 구성성분에 관해 물과 화학적 성질 및 동물 체내에 들어가기 전까지의 일어나는 현상을 광범위하게 배운다.
-
- 단체급식관리 및 실습 (Institutional Food Service Management and Practice)
- 식단계획, 물품구매, 원가계산, 표준 레시피 개발 등을 통한 외식 및 급식산업에 관한 이론을 습득한 후 고객에게 급식을 제공하는 실무경험을 통하여 급식의 생산, 작업 및 시간 관리와 배식 및 서비스에 이르기 까지 외식 및 단체급식경영에 관한 이론 및 실무를 직접 체험하게 한다.
-
- 영양화학실험 (Laboratory Of Nutrition Analysis)
- 실험을 통하여 영양학의 기본원리를 습득하게 한다. 특히, 동물을 이용한 실험을 직접 계획, 실험평가 함으로써 영양소의 생체 내에서의 중요한 기능을 확인하게 한다.
-
- 생화학 (Biochemistry)
- 당질, 지질, 단백질 및 핵산의 구조와 성질, 효소의 특성과 기능, 단백질의 합성과 유전정보에 대해 체계적인 지식을 배양시킨다.
-
- 고급생화학 (Advanced Biochemistry)
- 생화학을 토대로 하여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생명현상에 대한 화학적 지식을 습득한다.
-
- 환경위생학 (Environment Hygiene)
- 위생안전관리를 실천하기 위한 기초적인 지식인 위생관계법령과 환경위생의 개념을 이해하고, 위생곤충의 특성을 파악한다.
-
- 서양조리실습 (Western Cookery Practice)
- 서양조리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서양조리 용어, 조리법 등의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양조리 실습한다.
-
- 기능성식품 (Functional Food)
- 각 기능성 식품의 정의, 법규, 시장성 등을 파악하고, 각 기능성 식품의 효능과 작용기작 등을 학습한다.
-
- 임상영양 및 실습 (Clinical Nutrition and Practice)
-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영양의 역할을 인지하고 활용하는 임상영양관리의 기본 기술 및 병원식과 영양지원에 대한 이론을 확립을 위해 각종 질환에 대한 병리, 위험요인, 치료 및 영양관리를 습득한다.
-
- 식품위생관계법규 (Food Sanitation Laws)
- 식품위생법, 학교보건법, 학교급식법, 국민영양증진법, 국민영양 관리법과 그 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이해하고, 식품위생법과 관련된 법령들의 개정 내용들의 입법취지와 핵심 내용을 습득한다.
-
- 식품위생학 (Food Sanitation)
- 식중독, 화학적 위해물질, 감염병, 기생충, 식품첨가물 등 식품위생에 대한 기본 개념을 습득한다.
-
- 조리원리 (Principle of Cookery)
- 식품재료의 종류, 식품 구성성분의 기능을 알고 조리과정에서 일어나는 생물학적·물리화학적인 변화와 조리과학의 지식을 습득한다.
-
- 식품미생물학 및 실습 (Food Microbiology and Practice)
- 식품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형태 및 생화학적 성질을 연구하고 이의 식생활 이용을 규명하는 실험을 한다.
-
- 식사요법 및 실습 (Diet Therapy and Practice)
- 영양이 임상치료 면에서 차지하고 있는 중요성을 익하고, 기본적 영양의 이론을 바탕으로 평상시의 질병 시에 식사를 통한 영양관리법을 습득한다.
-
- 영양판정 및 실습 (Nutritional Assessment and Practice)
- 환자나 지역사회 주민들의 영양과 식생활 관리를 담당하고 교육하는 영양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하여 각종 영양판정 방법을 습득하여 직접 실습함으로써 현장 감각을 익힌다.
-
- 영양교육 및 상담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 영양교육 이론을 활용하여 실습함으로 실제 올바른 영양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식생활관리 및 실습 (Meal Management and Practice)
- 합리적이며 과학적인 식생활 관리를 위한 기본지식 및 식단을 계획하는 법을 실습을 통하여 익힌다.
-
- 급식경영학 (Foodservice Management)
- 급식경영 방법을 배우며 각종 식품재료 및 물자구입 시 정확한 원가계산에 따라 구매결정을 하는데 보다 합리적인 소비운영을 위한 식품 구매방법에 관하여 익힌다.
-
- 영양사취업준비실무 (Nutritionist Job Preparation Practice)
- 영양사 면허취득을 위해 종합적인 이론 검토와 토의를 하고 영양사 취업 준비를 위해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한다.
-
- 식사관리특론 (Advanced Meal Management)
- 영양사의 급식관리 및 영양서비스 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영양관리특론 (Advanced Nutrition Management)
- 영양관리자로서의 식품 및 영양관련 지식과 활용도를 질의응답을 통해 습득하고, 영양관리 전반에 관한 내용을 타인에게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 생애주기영양학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 생애주기영양학은 기초영양학의 원리를 이용하여 생애주기의 각 단계, 즉 임신기, 수유기, 영아기, 미취학 아동기, 학령기, 청소년기, 성인기 및 노인기에 적용하고 운동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특수성을 응용하여 생애주기별 영양관리를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
- 영양사현장실습 (Nutritionist Placement)
- 영양사현장실습은 단체급식소 운영을 책임지는 관리자로서 영양사가 수행해야 할 실무적인 업무를 습득하는 과목이다. 본 과목을 통해 식단 작성, 급식시설 및 기기유지관리, 배식서비스 관리 등 영양사 주요 업무를 익힘으로써 급식전문경영자에게 요구되는 첨단전문지식과 현장실무기술을 습득하여 전문인으로서의 경쟁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4차산업혁명시대식품영양분야전망 (Food and Nutri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4차산업 혁명 시대에 식품, 영양, 외식, 급식산업 분야의 새로운 변화를 살펴보고 향후 예상되는 산업 환경의 변화 양상에 대한 대응 방안과 관련 분야의 미래 직업 전망을 토의한다.